수출 규제, 고객사 대응은 물론 지속 가능 전략까지
환경영향 산정과 보고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기세요.
탄소중립연구원은 다양한 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제공합니다.
상담 시작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LCA · PCF
제품 전과정평가 (LCA)와 탄소발자국 (PCF),
규제 대응을 넘어 제품 경쟁력을 높여보세요.
제품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LCA)
제품의 전 생애주기(원재료~폐기)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표준 방법론.
제품 탄소발자국 (Product Carbon Footprint,
PCF)
제품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CO₂e로 산정한 지표.
탄소중립연구원의 LCA · PCF 컨설팅
결과 산출부터 보고서 작성, 제3자 검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정확한 산정: ISO 14040/44/67 기반, 국제 검증 대응 가능
제품 경쟁력 확보: 글로벌 OEM 입찰·공급망 평가에서 차별화
인증·보고 지원: EPD, 환경성적표지 등 친환경 인증 프로세스 설계
전략 활용: Hot Spot 분석을 통한 감축 전략, R&D·영업 활용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규제 대응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규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Scope 1·2 산정 및 검증 대행
기업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제 표준(ISO 14064)과 국내 지침에 따라 정밀 산정합니다.
탄소중립연구원과 함께하시면, 제3자 검증 프로세스까지 지원해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목표관리제 할당 대상 업체 컨설팅
환경부 목표관리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보고서 작성 및 검증 지원을 제공합니다.
규제 리스크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Scope 3 자율 공시 산정 및 검증 대행
공급망·물류 등 간접 배출을 GHG Protocol과 ESG 공시 기준에 맞게 산정합니다.
공급망 관리와 ESG 평가 대응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CBAM 산정 대행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수출 대응을 위한 제품 단위 배출량 산정·보고를 지원합니다.
수출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응을 ISO 기반 방법론으로 제공합니다.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배출권 거래제
한국 배출권거래제(K-ETS)부터 자발적 배출권(VCM)까지, 국제 표준과 국내 규제 지침에 맞는
전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한국 규제 배출권 컨설팅 (K-ETS)
배출량 산정부터 거래 전략까지,
K-ETS 전 과정 지원
👉 K-ETS 대상 기업이라면, 단순 보고가 아니라 데이터 일관성 + 거래 전략까지 함께 가져가야 합니다.
배출량 산정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 지침에 따른 산정
Tier 1~3 방법론 중 기업의 데이터 수준에 맞는 최적 방법 적용
연료 사용량·공정 데이터 기반 배출계수 관리
MRV 체계 구축
내부 데이터 관리·모니터링 체계 설계
외부 검증기관 대응 지원 (검증·검인증기관 준비 포함)
배출권 전략 수립
무상할당량 vs 실배출량 비교 → 부족분/잉여분 도출
배출권 거래(매도·매수) 전략 컨설팅
자발적 배출권 컨설팅 (VCM)
글로벌 시장에서는 자발적 배출권도 경쟁력입니다.
👉 수출 중심 제조기업의 경우, 고객사 ESG 요구에 따라 자발적 크레딧 확보는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배출량 산정
GHG Protocol Corporate Standard
(Scope 1, 2, 3)ISO 14064-1 조직 단위 산정 적용
SBTi 목표 설정과 연계한 Scope 3 관리
배출권 프로젝트 개발
VERRA (VCS), Gold Standard, GCC 등 국제 인증체계별 요건 충족 지원
MRV(모니터링·보고·검증) 준비 및 등록 절차 컨설팅
전략 컨설팅
넷제로/ESG 전략에 맞춘 오프셋 활용 방안 제안
크레딧 구매·조달 전략 수립 및 리스크 관리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SBTi
과학기반 감축목표 (SBTi),
목표 설계부터 검증까지 체계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SBTi, 자발적이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사실상 필수가 되었습니다.
글로벌 밸류체인 요구
완성차, 전자, 소비재 대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의 감축을 위해 협력사에게 SBTi 승인 목표 제출을 요구합니다.
EM 납품 경쟁에서 불리하지 않으려면 사실상 필수입니다.
투자자·금융기관 압력
글로벌 투자자와 금융기관은 SBTi 검증 목표를 ESG 평가의 핵심 지표로 삼습니다.
SBTi 참여 기업은 자본 조달 비용, 신용 평가에서 유리해집니다.
규제 대응 선제 준비
EU CSRD, CBAM 등 규제가 확대되면서, SBTi 기반 감축 경로는 향후 보고 의무를 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됩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의 SBTi 컨설팅
데이터 기반 목표 설계부터 검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현재 배출 현황 분석 (Scope 1, 2, 3) 및 베이스라인 설정
감축 경로 설계 (절대/강도 기반, 부문별 경로 적용)
경영진 의사결정을 위한 목표안 도출 및 시나리오 비교
SBTi 제출 문서 작성 및 검증 대응 (Validation 프로세스 지원)
실행 로드맵 및 MRV(측정·보고·검증) 체계 설계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CDP)
글로벌 ESG 평가기관 대응의 핵심, CDP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Carbon Disclosure Project) 대응을 위한
데이터 수집부터 설문 검증까지 체계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CDP, 선택이 아닌
글로벌 신뢰 확보의 필수 요건이 되었습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의 CDP 컨설팅
데이터 수집부터 설문 응답, 등급 향상까지
CDP 평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CDP 평가 구조 및 문항 분석
기후변화·물·공급망 모듈별 문항 체계 및 평가 논리 분석
기업 특성에 따른 필수·선택 문항 구분 및 대응 전략 설계
데이터 기반 Gap 분석 및 개선 로드맵 수립
온실가스 인벤토리, 정책, 목표 등 내부 데이터 기반 현황 분석
CDP 등급별(Disclosure~Leadership) 요구사항 대비 현황 진단
데이터 수집 및 문서화 지원
Scope 1, 2, 3 배출량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증빙 문서, 정책자료, 시나리오 등 검증 가능한 서술형 답변 작성
CDP 설문서(Questionnaire) 응답 및 검증 대응
공식 CDP 설문서 초안 작성 및 Validation 대응
Reviewer 피드백 반영, 재응답 및 서류 보완 지원
CDP 등급 향상(Grade Improvement) 컨설팅
CDP 평가 Methodology 기반 등급별 개선전략 제시
Governance·Target·Risk 관리 등 핵심 항목 강화 지원
수출 규제, 고객사 대응은 물론 지속 가능 전략까지
환경영향 산정과 보고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기세요.
탄소중립의 시대. 탄소 규제는 강화되고, 글로벌 고객사들은
더 높은 수준의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은 다양한 산업의 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제공합니다.
상담 시작하기
탄소중립연구원 컨설팅 서비스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LCA · PCF
제품 전과정평가 (LCA)와 탄소발자국 (PCF),
규제 대응을 넘어 제품 경쟁력을 높여보세요.
제품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LCA)
제품의 전 생애주기(원재료~폐기)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표준 방법론.
제품 탄소발자국 (Product Carbon Footprint, PCF)
제품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CO₂e로 산정한 지표.
CBAM 등 수출 규제부터 글로벌 OEM의 넷제로 전략, ESG 평가와 친환경 인증(EPD)까지 — 모두 제품 LCA / PCF 산정에서 출발합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은 자동차 업계부터 뷰티 및 생활용품 제조업체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쌓아온 폭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ISO 14040/44/67 국제 표준에 기반한
믿을 수 있는 LCA · PCF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의 LCA · PCF 컨설팅
결과 산출부터 보고서 작성, 제3자 검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정확한 산정: ISO 14040/44/67 기반, 국제 검증 대응 가능
제품 경쟁력 확보: 글로벌 OEM 입찰·공급망 평가에서 차별화
인증·보고 지원: EPD, 환경성적표지 등 친환경 인증 프로세스 설계
전략 활용: Hot Spot 분석을 통한 감축 전략, R&D·영업 활용
문의하기
LCA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규제 대응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규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Scope 1·2 산정 및 검증 대행
기업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제 표준(ISO 14064)과
국내 지침에 따라 정밀 산정합니다.
탄소중립연구원과 함께하시면, 제3자 검증 프로세스까지
지원해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목표관리제 할당 대상 업체 컨설팅
환경부 목표관리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보고서 작성 및 검증 지원을 제공합니다.
규제 리스크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Scope 3 자율 공시 산정 및 검증 대행
공급망·물류 등 간접 배출을 GHG Protocol과 ESG 공시
기준에 맞게 산정합니다.
공급망 관리와 ESG 평가 대응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CBAM 산정 대행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수출 대응을 위한 제품 단위
배출량 산정·보고를 지원합니다.
수출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응을 ISO 기반
방법론으로 제공합니다.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배출권 거래제
한국 배출권거래제(K-ETS)부터 자발적 배출권(VCM)까지, 국제 표준과 국내 규제 지침에 맞는
전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한국 규제 배출권 컨설팅 (K-ETS)
배출량 산정부터 거래 전략까지, K-ETS 전 과정 지원
👉 K-ETS 대상 기업이라면, 단순 보고가 아니라 데이터 일관성 + 거래 전략까지 함께 가져가야 합니다.
배출량 산정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
지침에 따른 산정Tier 1~3 방법론 중 기업의 데이터 수준에 맞는
최적 방법 적용연료 사용량·공정 데이터 기반 배출계수 관리
MRV 체계 구축
내부 데이터 관리·모니터링 체계 설계
검증기관 대응 지원 (검증·검인증기관 준비 포함)
배출권 전략 수립
무상할당량 vs 실배출량 비교 → 부족분/잉여분 도출
배출권 거래(매도·매수) 전략 컨설팅
자발적 배출권 컨설팅 (VCM)
글로벌 시장에서는 자발적 배출권도 경쟁력입니다.
👉 수출 중심 제조기업의 경우, 고객사 ESG 요구에 따라 자발적 크레딧 확보는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배출량 산정
GHG Protocol Corporate Standard
(Scope 1, 2, 3)ISO 14064-1 조직 단위 산정 적용
SBTi 목표 설정과 연계한 Scope 3 관리
배출권 프로젝트 개발
VERRA (VCS), Gold Standard, GCC 등 국제
인증체계별 요건 충족 지원MRV(모니터링·보고·검증) 준비 및 등록 절차 컨설팅
전략 컨설팅
넷제로/ESG 전략에 맞춘 오프셋 활용 방안 제안
크레딧 구매·조달 전략 수립 및 리스크 관리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SBTi
과학기반 감축목표 (SBTi),
목표 설계부터 검증까지 체계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SBTi, 자발적이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사실상 필수가 되었습니다.
글로벌 밸류체인 요구
완성차, 전자, 소비재 대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의 감축을 위해 협력사에
SBTi 승인 목표 제출을 요구합니다.
OEM 납품 경쟁에서 불리하지
않으려면 사실상 필수입니다.
투자자·금융기관 압력
글로벌 투자자와 금융기관은 SBTi
검증 목표를 ESG 평가의 핵심 지표로
삼습니다.
SBTi 참여 기업은 자본 조달 비용,
신용 평가에서 유리해집니다.
규제 대응 선제 준비
EU CSRD, CBAM 등 규제가
확대되면서, SBTi 기반 감축 경로는
향후 보고 의무를 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됩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의 SBTi 컨설팅
데이터 기반 목표 설계부터 검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현재 배출 현황 분석 (Scope 1, 2, 3) 및 베이스라인 설정
감축 경로 설계 (절대/강도 기반, 부문별 경로 적용)
경영진 의사결정을 위한 목표안 도출 및 시나리오 비교
SBTi 제출 문서 작성 및 검증 대응 (Validation 프로세스 지원)
실행 로드맵 및 MRV(측정·보고·검증) 체계 설계
SBTi 목표
✔ 표면적 선언이 아닌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설계해 보세요.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에 맡겨보세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CDP)
글로벌 ESG 평가기관 대응의 핵심, CDP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Carbon Disclosure Project) 대응을 위한
데이터 수집부터 설문 검증까지 체계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CDP, 선택이 아닌 글로벌 신뢰 확보의 필수 요건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밸류체인 요구
완성차, 전자, 소비재 등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의 ESG 투명성을 위해 CDP 공개 응답 및 등급 제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OEM 납품 과정에서 CDP 미응답은 신뢰도 리스크로 간주됩니다.
투자자·금융기관 압력
CDP는 투자자와 금융기관이 활용하는 기후 리스크 평가의 핵심 지표입니다.
응답 기업은 자본 조달, ESG 등급, 신용평가 등에서 긍정적 인식과 우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규제 대응 선제 준비
CDP는 향후 공시·검증 체계 구축의 기반이 됩니다.
새롭게 등장하는 규제 요구사항을 미리 충족하는 발판이 될뿐 아니라,
기업의 데이터 관리 체계를 한 단계
성숙시키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탄소중립연구원의 CDP 컨설팅
CDP 평가 구조 및 문항 분석
기후변화·물·공급망 모듈별 문항 체계 및 평가 논리 분석
기업 특성에 따른 필수·선택 문항 구분 및 대응 전략 설계
데이터 기반 Gap 분석 및 개선 로드맵 수립
온실가스 인벤토리, 정책, 목표 등 내부 데이터 기반 현황 분석
CDP 등급별(Disclosure~Leadership) 요구사항 대비 현황 진단
데이터 수집 및 문서화 지원
Scope 1, 2, 3 배출량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증빙 문서, 정책자료, 시나리오 등 검증 가능한 서술형 답변 작성
CDP 설문서(Questionnaire) 응답 및 검증 대응
공식 CDP 설문서 초안 작성 및 Validation 대응
Reviewer 피드백 반영, 재응답 및 서류 보완 지원
CDP 등급 향상(Grade Improvement) 컨설팅
CDP 평가 Methodology 기반 등급별 개선전략 제시
Governance·Target·Risk 관리 등 핵심 항목 강화 지원
글로벌 OEM 및 투자기관 대상 신뢰도 확보 및 리스크 완화
CDP 등급 목표 달성을 통한 ESG 평가 경쟁력 강화
향후 공시·검증 대응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 구축
탄소중립연구원과 함꼐
성공적인 CDP를 수행해 보세요.
문의하기
탄소중립연구원은
자동차 산업처럼 고객사의 요구가 까다로운 분야는 물론
뷰티·소비재 산업처럼 제품 다양성과 글로벌 공급망 관리가
중요한 산업에서도 검증된 결과를 만들어왔습니다.
친절하고 꼼꼼한 프로세스
믿을 수 있는 산출물
폭넓은 경험을 가진 전문팀

(주)탄소중립연구원
대표이사 | 이민
사업장등록번호 | 102-88-02087
서울특별시 관악로17길 9, 3층
Copyright © 2025 by 탄소중립연구원

LCA/온실가스 국제 표준
[ISO 14040, ISO 14044, ISO 14067] 제 3자 검증 완료

정보보호경영시스템/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호 국제 표준
[ISO 27001, ISO 27017] 제 3자 인증 확보

LCA 국제 인증
국내외 EPD 심사 대행
info@cnrikorea.com

(주)탄소중립연구원
대표이사 | 이민
사업장등록번호 | 102-88-02087
서울특별시 관악로17길 9, 3층
Copyright © 2025 by 탄소중립연구원

LCA/온실가스 국제 표준 [ISO 14040, ISO 14044, ISO 14067] 제 3자 검증 완료

정보보호경영시스템/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호 국제 표준
[ISO 27001, ISO 27017] 제 3자 인증 확보

LCA 국제 인증 국내외 EPD 심사 대행
info@cnrikorea.com